마크다운(MarkDown) 문법, 사용법 정리
💡Tips - 마크다운에 대하여
마크다운(MarkDown) 문법
위키백과에서 정의하는 마크다운(Markdown)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.
마크다운(markdown)은 일반 텍스트 기반의 경량 마크업 언어다. 일반 텍스트로 서식이 있는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며, 일반 마크업 언어에 비해 문법이 쉽고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. HTML과 리치 텍스트(RTF) 등 서식 문서로 쉽게 변환되기 때문에 응용 소프트웨어와 함께 배포되는 README 파일이나 온라인 게시물 등에 많이 사용된다.
- 위키백과
마크다운(MarkDown)은 Github의 ReadMe.md
등에서 md 확장자를 통해서 접해보셨을 거에요, 쉽게 말하면 텍스트 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
이고, 특수문자나 기호 등을 사용해서 HTML로 쉽게 변환할 수 있는 언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개발자라면 마크다운(MarkDown) 문법 정도는 알고계셔야 좋습니다 :)
그럼 알아볼까요?
제목(Header)
제일 먼저 제목입니다. 제목을 작성하는 방법은 두가지로 나뉩니다.
#
을 사용해 표시Horizen
을 사용해 표시
#
을 사용해 표시
# 헤더 - h1
## 헤더 - h2
### 헤더 - h3
#### 헤더 - h4
##### 헤더 - h5
###### 헤더 - h6
#
을 1개부터 6개까지, 총 6개 크기의 헤더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 #
이 적을 수록 큽니다.
- 예시
헤더 - h1
헤더 - h2
헤더 - h3
헤더 - h4
헤더 - h5
헤더 - h6
수평선(Horizen)을 사용해 표시
Horizen
이 뭐냐면, 수평선을 의미합니다. 후에 자세히 설명드리겠지만, 이 밑에 보이는 선으로 구분선을 쓸 수 있도록 해줍니다.
이걸 텍스트 바로 밑에 쓰면, 헤더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헤더 - h1
=====
헤더 - h2
-----
- 예시
헤더 - h1
헤더 - h2
수평선(Horizen)
위에서 사용했던 수평선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
***
---
___
위 3가지 중에 쓰시면 되고, 3개 이상 쓰시면 적용됩니다. 위에서 사용했던 것 처럼 텍스트 바로 밑줄에 사용하면 헤더로 적용됩니다. 다만 ===
는 수평선으로 사용되지 않고, 헤더를 표시할 때만 사용되는 수평선입니다.
===
안되죠?
목록(List)
목록을 사용할 때는 순서가 정해진 경우에는
1.
, 2.
와 같은 기호로,
순서가 정해지지 않은 경우에는
-
,*
,+
를 사용합니다.
순서가 정해지지 않은 경 탭이나 스페이스바로 들여쓰기로 하위 목록을 정할 수 있습니다.
먼저 순서가 정해진 목록입니다.
순서가 있는 목록
1. 짜장면
3. 피자
2. 햄버거
- 예시
순서가 있는 목록
- 짜장면
- 피자
- 햄버거
위에서 썼던 번호가 뒤바뀌어도 결과는 순서대로 나오게 됩니다.
다음은 순서가 정해지지 않은 목록입니다.
순서가 없는 목록
* 목록 1
* 목록 1.1
* 목록 1.2
- 목록 2
+ 목록 3
- 예시
순서가 없는 목록
- 목록 1
- 목록 1.1
- 목록 1.2
- 목록 1.1
- 목록 2
- 목록 3
줄바꿈
줄을 바꿔봐요<br>
줄을 바꿔봐요 (스페이스바 3번 입력)
다음 줄
- 예시
줄을 바꿔봐요
줄을 바꿔봐요
다음 줄
강조
이텔릭체
*테스트* _테스트_
볼드체
**테스트** __테스트__
취소선
~~테스트~~
밑줄
<u>밑줄</u>
- 예시
이텔릭체 테스트 테스트
볼드체 테스트 테스트
취소선
테스트
밑줄
밑줄
밑줄같은 경우에는 마크다운 문법은 아니고, html 태그입니다.
링크
[텍스트](참조할 주소)
를 써주시면 됩니다.
[구글](https://google.com)
이렇게 사용하면 구글이라는 텍스트에 주소가 반영됩니다.
꺾쇠를 활용해서 링크를 그대로 반환할 수 있습니다.
구글: <https://google.com>
- 예시
이렇게 사용하면 구글이라는 텍스트에 주소가 반영됩니다.
꺾쇠를 활용해서 링크를 그대로 반환할 수 있습니다.
이미지 삽입
링크를 쓰는 방법과 비슷합니다. 다만 앞에 !
가 붙습니다.
이미지만 삽입

링크를 포함해서 이미지 삽입
[](연결될 url)
- 예시
이미지만 삽입
링크를 포함해서 이미지 삽입
다만 깃허브 블로그를 운영할 때 이런식으로 이미지를 이런식으로 올리는 경우 사이즈를 조절하기가 좀 까다로운 경우가 많아 저는 그냥 직접 html태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.
html태그로 삽입
<img src = "주소" width = "50%" height = "50%" >

이런식으로 이미지를 삽입하면, 크기를 조정해 줄수 있고 %
를 붙이지 않으면 픽셀로 조정됩니다. 다만 %
는 HTML5에서는 픽셀(pixel) 단위만 적용됩니다.
저는 마크다운을 편집할 때 Atom
을 사용하는데요, 플러그인 중에서Markdown-preview-enhanced
를 사용하시면 Image Helper
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하면 imgur에 이미지가 올라가서 url이 생성됩니다.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Html 태그로 사용해서 쓰기 편해서 사용중입니다.
인용문
> 인용문 1
>> 인용문 2
>>> 인용문 3
- 예시
인용문 1
인용문 2
인용문 3
>
의 갯수에 따라 중첩하여 쓸 수 있습니다. 인용문 많이 쓰면 이쁜거 같아요 ㅎ
코드 블록
한 단어만 감싸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.
`테스트`
테스트
전체 문장을 삽입하는 경우에는(코드) 코드의 시작과 끝에 ``` 를 붙이면 됩니다.
코드를 삽입 할 때 언어를 설정해서 하이라이트를 바꿔줄 수도 있습니다. 위쪽(시작) 부분에 언어 이름을 적어주시면 됩니다.
@RestController
public class ImageController {
@GetMapping(value = "img/{imageName}.{extension}", produces = MediaType.IMAGE_PNG_VALUE)
public @ResponseBody byte[] getImage(
@PathVariable(name = "imageName") String imageName,
@PathVariable(name = "extension", required = false) String extension,
HttpServletRequest request) throws IOException{
String imagePath = request.getServletContext().getRealPath("/img/"+imageName+"."+extension);
InputStream imageStream = new FileInputStream(imagePath);
byte[] imageByteArray = IOUtils.toByteArray(imageStream);
imageStream.close();
return imageByteArray;
}
}
테이블
테이블을 작성하기 위해선 |
로 구분해서 사용하며, 폰트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-
으로 구분한 후 양쪽에 :(세미 콜론)
을 붙이면 왼쪽, 가운데, 오른쪽 정렬이 가능합니다.
| 중식 | 한식 | 양식 |
|:----------|:----------:|----------:|
| **마라탕** | *비빔밥* | ~~파스타~~ |
- 예시
중식 | 한식 | 양식 |
---|---|---|
마라탕 | 비빔밥 |
체크박스
-
,+
,*
뒤에 띄어쓰기를 합니다. 그다음 대괄호를 적고 x
혹은 띄어쓰기
를 넣으면 체크박스를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. x
를 넣으면 체크가 활성화 됩니다.
- [ ] 운동 하기
- [x] 강의 듣기
- 운동 하기
- 강의 듣기
이모티콘
Github Pages에서 제공하는 jekyll에서는 jemoji를 사용해서 이모지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. Github에서 사용하는 마크다운에서는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(:smile:)이런식으로 사용하시면 되는데, Github Blog에서는 적용이 안됩니다. 이유는 kramdown
을 사용하기 때문인데요, 자세히 아실 필요는 없고
여기서 이모지 복사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.
jemoji가 안되어서 저는 오류로 잠깐 보류하고, 그냥 직접 복사해서 사용하는 중입니다. 😃이게 더 편한 것 같아요..ㅎ
jemoji는 후에 포스팅하겠지만 간략히 설명드리면, _config.yml
에
plugins:
-jemoji
를 추가하고, Gemfile에 등록후
sudo bundle install
sudo bundle update
bundle exec jekyll serve
해주시면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사용은 :smile:등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형광펜
해당 기능은 위 페이지를 참고하셔서 추가하셔야 하고, 저는 테마를 Summon님 의 Github에서 참고하여 수정하고 기능을 추가했기 때문에 먼저 추가해주셨습니다.
형광펜입니다 기본 형광펜 => 바이올렛
후기
저도 마크다운에 익숙하지 않아서 블로그 글 쓰는데 몇시간이 걸리지만, 이렇게 한번 정리해놨으니 앞으로 빠르게 쓸 수 있겠어요 ㅎ 이 글을 보신 여러분들도 다들 이쁜 마크다운 애용하시길 바랍니다. 혹시 더 필요할 게 있으면 계속해서 추가할 예정입니다. 감사합니다!